오늘은 재미있는 생각을 한번 해볼까 합니다. 미래의 TV. 영화에 나오는 벽면을 가득 채운 거대한 영상과 3D 입체 화면. 어느 공간에나 화면을 보여주고, 원하는 규격으로 볼륨을 조정하듯 화면도 키우고 줄이고… 음성인식은 기본이고 냉장고에서 떨어져 가는 과일이나 음료수 그리고 주방에 올려놓은 밥솥에서 밥이 되어가는 진행상황, 학원에서 돌아오는 아이의 동선까지 표시되는 화면. 휴 ~ 여기까지만 생각도 이제 TV의 미래는 단순한 볼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바보상자라는 닉네임은 요즘 TV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TV는 더욱 스마트해졌고 다른 기기와의 링크를 늘려가면서 단순한 방송 시청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와 정보를 체험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엑스캔버스 TV의 발전을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전 TV는 아주 단순했습니다. 고작 비디오나 가정용 게임기를 연결하는 정도였죠. 최근에 등장하는 TV는 완전히 다른 컨셉으로 바뀌었습니다. 첨단 인터페이스인 HDMI(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단자, 컴퓨터와 연결되는 RGB 단자, 디지털 음성출력을 위한 광단자, 컴포넌트 입력 단자 그리고 컴퓨터에서나 볼 수 있던 USB 단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단자 등이 이제는 보통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TV는 이제 홈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이 된 것 같네요. TV가 거느릴 수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한번 살펴볼까요?
1. 거실을 영화관으로 - 홈씨어터 시스템
최근 나오는 TV 스피커도 좋지만, 영화를 즐기는 데는 홈씨어터만한 선택이 없습니다. 웅장한 사운드와 극장 수준의 화질은 한번 경험하면 집을 고쳐가면서도 홈씨어터를 업그레이드 할 정도죠. 홈씨어터는 영화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을 즐기는데도 좋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5.1ch의 웅장한 홈씨어터를 장만하는 것이 좋고, 집이 조금 좁고 여유가 부족하면 2.1ch의 소형 홈씨어터도 충분히 기능을 하므로 TV와 궁합을 맞춘 좋은 디바이스입니다.
2. 거실에서 즐기는 가족체육대회 - 비디오 게임기 (XBOX360, PS3, Wii 등)
최근 조사에 따르면 개인화된 현대인의 가족생활을 다시 복원시켜주는 것이 TV라고 합니다. 특히, TV 중에서도 가족이 함께 즐기는 비디오 게임기가 가족의 대화를 증진시키고 유대감을 강화시키는데 좋은 디바이스가 되고 있다는 것.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더군요. ^^ 함께 즐기면 정도 더욱 돈독해지겠죠?
3. 집에서는 대형 모니터, 회사에서는 프리젠테이션 - 노트북
노트북의 보급이 늘면서 보조 모니터에 대한 니즈도 강화되는 듯합니다. 노트북 화면만으로는 무언가 부족하기 마련이죠. 특히 집에서는 노트북을 이용해 동영상을 볼 때 컴퓨터 모니터보다는 TV처럼 대화면이 지원된다면 더욱 좋겠죠. 또 한편으로는 회사에도 대형 TV를 이용해 간편하게 발표를 진행하거나 스터디를 할 때에도 대형 TV는 좋은 친구가 되어줍니다.
4. 사진, 동영상, 음악을 즐기는 새로운 방법 - USB 메모리와 하드디스크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예전과 달리 사진을 주로 디지털 형태로 보관합니다. 가족 행사를 하거나 옛 추억을 떠올릴 때 예전에는 비디오를 보거나 아니면 사진첩을 돌려보며 웃고, 울고 했었는 데 말이죠. 이제는 TV의 사진 슬라이드쇼 기능을 이용하면 온 가족이 추억을 공유할 수 있죠. 또 동영상과 mp3 파일도 함께 즐기는 게 가능하니 TV가 예전의 TV가 아닌 셈이죠.
5. HD 동영상을 곧바로 - HD 동영상 지원 DSLR 카메라
최근 디지털 카메라에 동영상 기능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HD(고화질)급 영상을 촬영하고 재생하는 것도 가능해졌죠. 더구나 HDMI 단자를 제공함에 따라 카메라와 TV를 직접 연결하여 메모리에 담긴 영상을 바로 즐기거나 사진을 즐기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6. 유튜브 베스트 UCC가 TV에서 재생된다 - 인터넷 접속
꼭 컴퓨터를 통해야지만 인터넷이 되던 시절도 조만간 없어질지 모릅니다. 이미 엑스캔버스 홈씨어터에는 TV에서 즐기는 유튜브 전용 서버를 연결해 대화면으로 유튜브를 컴퓨터 없이 즐길 수도 있죠. IPTV가 내장된 TV도 있으니 이제 컴퓨터가 포함된 TV가 나오는 것도 멀지 않았죠. 인사이드 인터넷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말입니다. ^^ / XCANVAS BLOG
바보상자라는 닉네임은 요즘 TV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TV는 더욱 스마트해졌고 다른 기기와의 링크를 늘려가면서 단순한 방송 시청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와 정보를 체험할 수 있게 된 것이죠. 엑스캔버스 TV의 발전을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전 TV는 아주 단순했습니다. 고작 비디오나 가정용 게임기를 연결하는 정도였죠. 최근에 등장하는 TV는 완전히 다른 컨셉으로 바뀌었습니다. 첨단 인터페이스인 HDMI(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단자, 컴퓨터와 연결되는 RGB 단자, 디지털 음성출력을 위한 광단자, 컴포넌트 입력 단자 그리고 컴퓨터에서나 볼 수 있던 USB 단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단자 등이 이제는 보통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TV는 이제 홈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이 된 것 같네요. TV가 거느릴 수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한번 살펴볼까요?
(간결하면서도 다양한 외부기기 연결을 지원하는 엑스캔버스 TV)
1. 거실을 영화관으로 - 홈씨어터 시스템
최근 나오는 TV 스피커도 좋지만, 영화를 즐기는 데는 홈씨어터만한 선택이 없습니다. 웅장한 사운드와 극장 수준의 화질은 한번 경험하면 집을 고쳐가면서도 홈씨어터를 업그레이드 할 정도죠. 홈씨어터는 영화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을 즐기는데도 좋습니다. 여유가 있다면 5.1ch의 웅장한 홈씨어터를 장만하는 것이 좋고, 집이 조금 좁고 여유가 부족하면 2.1ch의 소형 홈씨어터도 충분히 기능을 하므로 TV와 궁합을 맞춘 좋은 디바이스입니다.
(홈씨어터만 있다면 극장이 부럽지 않죠. ^^)
2. 거실에서 즐기는 가족체육대회 - 비디오 게임기 (XBOX360, PS3, Wii 등)
최근 조사에 따르면 개인화된 현대인의 가족생활을 다시 복원시켜주는 것이 TV라고 합니다. 특히, TV 중에서도 가족이 함께 즐기는 비디오 게임기가 가족의 대화를 증진시키고 유대감을 강화시키는데 좋은 디바이스가 되고 있다는 것.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더군요. ^^ 함께 즐기면 정도 더욱 돈독해지겠죠?
(게임을 통해 가족이 더욱 화목해질 수도 있답니다. ^^)
3. 집에서는 대형 모니터, 회사에서는 프리젠테이션 - 노트북
노트북의 보급이 늘면서 보조 모니터에 대한 니즈도 강화되는 듯합니다. 노트북 화면만으로는 무언가 부족하기 마련이죠. 특히 집에서는 노트북을 이용해 동영상을 볼 때 컴퓨터 모니터보다는 TV처럼 대화면이 지원된다면 더욱 좋겠죠. 또 한편으로는 회사에도 대형 TV를 이용해 간편하게 발표를 진행하거나 스터디를 할 때에도 대형 TV는 좋은 친구가 되어줍니다.
4. 사진, 동영상, 음악을 즐기는 새로운 방법 - USB 메모리와 하드디스크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예전과 달리 사진을 주로 디지털 형태로 보관합니다. 가족 행사를 하거나 옛 추억을 떠올릴 때 예전에는 비디오를 보거나 아니면 사진첩을 돌려보며 웃고, 울고 했었는 데 말이죠. 이제는 TV의 사진 슬라이드쇼 기능을 이용하면 온 가족이 추억을 공유할 수 있죠. 또 동영상과 mp3 파일도 함께 즐기는 게 가능하니 TV가 예전의 TV가 아닌 셈이죠.
(TV로 사진을 슬라이드쇼할 수도 있습니다.)
5. HD 동영상을 곧바로 - HD 동영상 지원 DSLR 카메라
최근 디지털 카메라에 동영상 기능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HD(고화질)급 영상을 촬영하고 재생하는 것도 가능해졌죠. 더구나 HDMI 단자를 제공함에 따라 카메라와 TV를 직접 연결하여 메모리에 담긴 영상을 바로 즐기거나 사진을 즐기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6. 유튜브 베스트 UCC가 TV에서 재생된다 - 인터넷 접속
꼭 컴퓨터를 통해야지만 인터넷이 되던 시절도 조만간 없어질지 모릅니다. 이미 엑스캔버스 홈씨어터에는 TV에서 즐기는 유튜브 전용 서버를 연결해 대화면으로 유튜브를 컴퓨터 없이 즐길 수도 있죠. IPTV가 내장된 TV도 있으니 이제 컴퓨터가 포함된 TV가 나오는 것도 멀지 않았죠. 인사이드 인터넷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말입니다. ^^ / XCANVAS BLOG
'AV 트렌드 > 스마트 테크놀로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채널 브라우저, 인터넷에서도 글로벌 스탠다드 (0) | 2009.12.12 |
---|---|
보더리스 TV 체험단의 생생한 목소리 리뷰 (0) | 2009.12.10 |
엑스캔버스 보더리스 TV는 일정관리도 된다! (0) | 2009.11.17 |
지디넷 코리아, 엑스캔버스 보더리스 TV 동영상 리뷰 (0) | 2009.11.13 |
보더리스 TV 주요 기능 설정 방법 (0) | 2009.10.27 |